(1) 학교상담의 절차
Ÿ 내담자의 방문
- 방문 계기: 자발적 방문, 교사나 학부모의 의뢰, 상담자의 필요에 의한 호출 방문
Ÿ 접수 면접
- 내담자와 상담자의 실제 접촉이 일어남
- 상담자의 호의적인 첫인상이 중요: 친밀감과 신뢰감, 라포 형성의 시작
- 따뜻하고 수용적인 분위기
① 간단한 다과와 음료, 편안한 의자
② 언어적-비언어적 환영의 메시지
③ 솔직성, 공감적 이해, 긍정적 존중의 태도
④ 내담자가 무엇이든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기
- 상담신청서 작성: 내담자의 방문 사유, 요구, 간단한 신상, 내담 경로, 주 호소문제, 문제의
경과, 내담하기 전의 대응 등
- 심리검사 실시: 문장완성검사, 집-나무-사람 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진로적성 검사 등
- 50여분 정도가 적절
(2) 개인 상담의 구조화
- 구조화: 상담에 대한 사전교육으로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담목표나 상담 목표를 성취하기 위
한 과제에 대해 서로 합의하는 과정
- 학교 상담의 전개과정: 시작 단계, 준비 단계, 작업 단계, 종결 단계
발달 단계 | 단계별 특징 |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 | 핵심 기법 |
시작단계 (1~2회) |
- 상담자 소개 - 상담 구조화 - 상담 목표의 설정 |
“상담 과정과 목표를 구체 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계 속 도움을 받고 싶다.” |
- 관심 기울이기 - 공감 |
준비단계 (2~4회) |
- 의존성, 저항, 갈등의 처 리 - 신뢰 관계의 형성 |
“상담자를 신뢰할 수 있다. 마음 놓고 문제를 노출해도 되겠다.” |
- 공감 - 자기노출 |
작업단계 (5~8회) |
- 자기 노출과 감정 정화 - 비효과적 행동패턴의 이 해, 수용, 개방 - 대안행동의 선택과 학습 |
“흐뭇하다. 이해받았다. 속 이 후련하다.” “나를 알게 되었다. 바람직 하지 못한 행동패턴을 알게 되었을뿐 아니라 인정한다. 고치고 싶다.” “대안행동을 찾았다. 역할 연습을 통해 어느 정도 할 자신이 생겼다. 실생활에 적 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 공감 - 자기노출 - 역할 연습 - 과제 부여 |
종결단계 (9~10회) |
- 상담 경험의 개관, 요약 - 내담자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평가 - 이별 감정과 미진 사항 의 취급 - 작별 의식 |
“구체적 도움을 받았다.” “실생활에 적용하고 싶다.” |
- 요약하기 - 의사확인 - 긍정적 피드백 |
(3) 개인 상담의 핵심 기법
- 상담 구조화: 상담의 특성, 방향, 목표, 상담과정에 대한 안내,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 상담
기간, 상담 횟수, 비밀보장의 한계 제시
예) “선생님이 상담이 무엇인지 설명해줄게. 상담은 목표가 있는 활동이거든. 상담을 통해
서 네가 가지고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기존에 가지고 있는 바람직한 행
동을 더욱 증가시키고 또는 새로운 바람직한 행동을 배우는 거야.”
- 상담 목표 세우기: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고, 도달할 수 있고, 관련되며, 시기적절한 목표
예) 친구 잘 사귀기 → OO랑 영화보러 가기/ 국어 시험 잘 보기 → 국어 시험 70점 맞기
- 질문하기: 개방형으로 질문하기
예) 그것에 대해 좀 더 이야기 해 줄수 있겠니?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등
- 대화법
①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걸림이 되는 말
밀어붙이기 “내 말이 틀림없어” | 비난하기 “너는 생각이 그렇게 없니?” |
번역하기 “니 말이 왜 틀렸느냐하면, ~” | 회피하기 “난 모르겠어. 네가 알아서 해” |
충고하기 “네 방법은 말이 안돼. 내 말대로 해” | 추궁하기 “꼭 그렇게 밖에 선택을 못하겠어?” |
헐뜯기 “너는 꼭 그 방법밖에 생각을 못하니?” | 빈정대기 “그런 계획이 잘 될 것 같니?” |
무시하기 “네 생각은 엉터리야” | 기죽이기 “네가 하는 게 그렇지” |
②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말
관심갖기 “안색이 안 좋은데 무슨 일이니?” | 장점찾기 “그래. 너는 여러 가지 면에서 생각 이 남다르구나” |
들어주기 “아 그랬어? 좀 더 자세히 이야기 해볼래?” |
제안하기 “나의 이런 생각들도 참고해볼 수 있겠니?” |
존중하기 “네 말도 일리가 있어” | 격려하기 “좋은 생각인 것 같아. 너에게 잘 맞을 거야.” |
열린 질문하기 “너는 어떻게 노력해왔니?” | 덮어주기 “너무 낙심하지 말고 잘 계획을 세 워봐” |
북돋아주기 “그래, 그거 참 좋은 생각이구나” | 요약하기 “지금까지 생각을 정리해볼까?” |
지지하기 “그렇게 하면 네 문제는 잘 해결될 거야” |
계속 돕기 “네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연락 해” |
③ I-message와 You-message
- I-massage: 나를 주어로 자신의 의사와 감정을 전달, 상대의 행동에 대한 나의 반응을 판단
이나 평가 없이 알려줌, 비언어적 메시지와 일치하게 전달해야 함
- You-message: 상대에게 문제의 책임을 지우면서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하는 메시지. 상대
의 행동을 문제삼고 그에 따른 책임을 상대에게 넘김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42. 생활지도와 상담의 평가 (1) | 2024.03.07 |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41. 생활지도와 상담 조직 (0) | 2024.03.05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39. 상담자의 역할 및 집단상담기법 (0) | 2024.03.04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38. 집단상담의 과정 (0) | 2024.03.03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37. 집단상담의 계획 (0) | 202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