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학교사회복지론 핵심 요약 정리 17장. 강점관점

학교사회복지론

by riho❤️ 2023. 1. 25. 08:50

본문

반응형

17. 강점관점

1. 강점관점 개념과 특징

• 1989년 Weick의 논문을 통해 ‘강점관점(Strenghts Perspective)’ 소개

• 모든 인간이 광범위한 재능, 능력, 허용력, 기능, 자원, 열망 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

이용하고 있지 못한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잠재 능력이 있음

• 강점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개인과 가족 및 지역사회에 존재하거나 그를 둘러싸고 있는

잠재적 능력이나 자원들을 찾아 구성

• 강점관점은 클라이언트의 문제 자체에 관한 관심보다는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강화하고 욕구에

초점을 맞추어 해결책을 찾음

• 강점관점의 실천은 클라이언트의 고유 특성과 욕구에 대해 인정하면서 역량과 강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내ㆍ외적 자원을 동원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활동

[표2] 강점관점과 병리적 관점의 비교

항목
강점관점
병리적 관점
사정 분야
ㆍ 클라이언트의 욕구
ㆍ 역량, 지식, 능력 등에 대한
전인적인 정보수집
ㆍ 문제에 대한 진단
ㆍ 클라이언트의 결함, 병리적 원인
분석
사정의 초점
ㆍ 강점과 가능성
ㆍ 문제
사정의 본질
ㆍ 클라이언트 개별화, 구체적,
명확한 진행
ㆍ 문제에 대한 진단과 분류의
범주화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식
ㆍ 역량과 적응력이 있는 존재
ㆍ 강점을 지닌 존재
ㆍ 통찰력 부족
ㆍ 결함을 지닌 존재
클라이언트 상황에
대한 접근방법
ㆍ 클라이언트 입장에서의 정보 수집
ㆍ 민족적ㆍ문화적 배경 고려
ㆍ 전문가적 관점
ㆍ 분석적 접근
원조 목적
ㆍ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을 위한
원조
ㆍ 문제 증상 감소

* 출처 : 주석진 외(2020)

1) 강점관점의 주요 개념

- 임파워먼트(empowerment) : 자원과 도구를 확장하고 발견하는 것

- 멤버십(membership) : 존중받을 자격을 인정

- 탄력성(resilience) : 성장할 능력이 있음을 인정

- 치유(healing)과 자기재생(self-regeneration) : 내면적이고 본질적인 능력을 인정

- 대화와 협력(dialogue & collaboration) : 타인과의 창조적인 관계 형성

- 불신에 대한 걱정(suspension of disbelief) : 극복의 가능성 확대

2. 학교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1) 적용과정

- 학생과의 첫 만남 : 충분한 라포 형성 ➜ 상담과정 설명 ➜ 과정에 대한 합의

- 문제에 대한 설명 : 문제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어떤 노력을 해 왔는지 등

: 강점을 발견하고, 지지하고 강화시킴

- 학생이 원하는 것을 찾아서 활용 :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동의, 초점을 맞춰 개입

• 강점관점은 개입방법이 아니라 학생을 바라보는 관점

• 무조건적인 칭찬이 아니라 강점을 발견하고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에서 소속감을 갖고 살아가도록

원조

• 강점관점 적용 시 유의사항

- 학생 스스로 원하고 요구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사정

- 학생의 역량, 지식, 능력 등 전인적인 정보의 수집

- 학생이 지금까지 살아온 생활방식에 대한 경청

- 학생이 표현하고 싶어 하는 의사를 충분히 표출하도록 격려

- 교사나 학부모도 학생의 강점을 발견하고 강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

학습정리

1. 생태체계적 관점

- 일반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을 실천가에게 제공

- 사회복지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점

- 한계 : 효과를 평가하기 어려움

2. 임파워먼트 관점

- 솔로몬에 의해 최초로 도입된 개념

- 클라이언트의 주체성을 강조

- 사회복지사는 동료, 협력자, 동반자

-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 대변자, 옹호자, 서비스 조정자, 사회자원의 개발자 등

3. 강점관점

-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장점에 초점, 임파워먼트와 연계

- 전제조건 : 강점을 실천ㆍ원조의 초점, 협력자, 무비판자, 지역자원의 활용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