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1급 등 필수과목 학교사회복지론 핵심 요약 정리 19장. 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의 변천사

학교사회복지론

by riho❤️ 2023. 1. 28. 16:05

본문

반응형

19. 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의 변천사

1. 학교사회복지 실천모델의 변천사

• 학교사회복지는 실천분야가 전문화되고 발전되어 오면서 시대, 사회, 문화적 환경이 요구하는 다양한

실천모델을 발전

• 각 모델은 학생이 직면하는 문제의 성격을 규명하는 시각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개입 목적과

기술,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을 제시



1) 모델의 변천단계

(1) Alderson(1972)

• 전통적 임상모델(clinical model)

- 초기 학교에서의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해 상담과 치료에 집중

- 학생과 가정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임상모델의 한계를 느낌

• 학교변화모델(school changed model)

- 학생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변화가 요구됨

- 학교변화 노력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이 안 됨 - 특히 저소득 지역

• 지역사회 학교모델(community-school model)

- 지역과의 협력을 통해 학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

- 각각의 영역에서의 노력에 한계가 나타남

• 사회적 상호작용모델(social interaction model)

- 학교, 학생, 지역사회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됨



(2) Costin(1975)

• 사회적 상호작용모델(social interaction model)

- 학교, 지역사회, 학생 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학교-지역사회-학생 관계모델)

- 주체가 없는 상호작용, 관계의 한계가 나타남

- 이후 실천현장과 학자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나타남

• 학교연계통합서비스 : 학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보건,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