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발달

보육교사, 유아교육학과 등 필수! 유아발달 요점 정리 11. 우리나라 아동발달이론

11. 우리나라 아동발달이론

 

1. 전통적 유교사회의 아동발달관
1) 전통적 유교사회의 아동관
○ 아동기
15세경(관례(
冠禮)의 연령, 예기(禮記) –성동(成童))
성인에 비해 생각이 모자라고, 지적으로 아직 판단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
무한정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시기
→ 훈육이 필요한 시기, 가정교육 중시, 부모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책임 강조

 

○ 아동관
태내에서 잉태되는 순간부터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
→ 태교의 중요성 강조

 

○ 부모의 역할
사랑과 헌신적인 돌봄을 통해 부모는 자녀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고 자녀를 존중하며 교육에
정성을 다했음.
부모역할의 중요한 덕목 –정성, 희생, 존중, 관심 등

 

○ 발달의 단계
류점숙(1990)
- 태아기(
胎兒期), 유유아기(乳幼兒期), 유아기(幼兒期), 동몽전기(童蒙前期), 동몽후기(童蒙後期),
성동기(
成童期), 성인기(成人期), 출사준비기(出仕準備期), 출사기(出仕期), 치사기(致仕期) 등 10단계

 

2) 발달의 단계
(1) 태아기
임신에 대한 준비 시기 + 태교를 하는 시기
태교 강조
- 임신 3개월 부터 본격적인 태교 실시
- 태중태교 10개월을 출생 후의 10년간 교육보다 강조
계녀서(
戒女書)
- 자식이 어머니를 닮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열 달을 뱃속에 들어있기 때문이니, 어찌
가르치지 않고서 착한 자식이 되겠는가
태교신기(
胎敎新記)
- 태아와 모체는 혈맥으로 이어져 모체가 숨쉬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태아의 성품을 이루게 되며,
모체의 영양섭취는 태아를 성장케 하는 것이므로 보고 듣고 먹는 일에 삼가야 한다.

 

(2) 유유아기
출생 ~ 3세
젖아기,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보호의 대상
예기(
禮記)의 내칙
- “어린아이는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 늦게 일어나고, 자기가 원하는 대로 행동한다. 먹는 것도
일정한 때가 없다.”, “어버이를 공양한 달고 부드럽고 매끄러운 음식은 어린이가 그 나머지를
먹는다.”

 

(3) 유아기
3세~7세
기본적인 훈육 시작
소학(
小學) 명륜편(明倫編)
- “자식이 밥을 먹을 수 있게 되거든 가르치되…
생활상의 예의나 습관훈련과 같은 기초 훈육, 올바른 습관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예교육(
禮敎育)
- 예) 수저사용법, 옷입는법, 세수하는 법, 대소변 가리기, 자신의 성별에 어울리는 언행 등

 

(4) 동몽전기
7세~10세
본격적인 교육의 시작
7세 전후 엄부자모(
嚴父慈母)의 양육태도
교육내용
- 유교사회의 윤리규범인 내외법(
內外法)의 통제를 받음
- 여아 : 효경과 논어(7세)
- 남아 : 겸양(
謙讓)의 예절 기대(8세)
- 예기(
禮記) : “남자는 여덟 살에 비로서 사양하는 도리를 가르치는데, 이는 공손하면서 탐내지
아니하고, 겸손하면서 인색하지 않는 것이 예절의 좋은 일이기 때문이다.”

 

(5) 동몽후기
10~15세
어른을 섬기는 예의인 유의(
幼義) 학습
- 예) 장유유서(
長幼有序)
양육의 주 책임자 : 어머니와 자녀의 친밀한 관계 → 남아 : 아버지, 여아 : 어머니
내외법의 본격적 실시, 성별에 따른 교육
예기(
禮記)
- 남아는 “열 살이 되거든 바깥 스승에게 나아가 취학하게 하여 바깥에 거처하면서 잠자게
하고, 글씨 쓰고 계산하는 것을 배우게 하며, 아침과 저녁에 예의를 배우되 간이(
簡易)하고
신실(
信實)한 일을 청하여 익히게 할 것이다“
→ 성인남자들의 생활공간인 사랑에서 생활, 남자로서의 역할 습득
예기 (
禮記)
- 여아는 “계집아이는 열 살이 되거든 항상 규문(
閨門) 안에 거처하여 밖에 나가지 않으며,
여자선생이 순한 말씨와 순한 용모와 듣고 순종하는 것을 가르치고 삼과 모시로 길쌈을 하며,
누에를 쳐서 실을 뽑으며, 비단을 짜고 끈을 땋아서 여자의 일을 배움으로써 의복을 지으며,
어른을 도와 제례를 올리는 것을 배우게 할 것이다.”
→ 성인 여성의 태도와 품성, 집안일 습득
특징
- 성별에 따른 양육태도
(남아 : 자율성과 독립성 강조, 여아 : 의존성 강조)
- 부모의 직접적인 훈육 → 위탁교육


3) 발달목표와 교육내용

○ 교육목표
유인(
儒人: 지도자)에 두어, 이에 도달하기 위해 성인(聖人)의 언행을 표준으로 삼는 것
3세경부터 직접적인 교육 실시
각 연령별 성별로 요구되는 행동양식의 차이가 있었음
→ 조선시대의 교훈서 내훈(
內訓), 사소설(士小節), 규범선영(閨範選英) 등 근거

4) 부모자녀관계
○ 조선시대의 부모자녀관계는 본능적ㆍ정서적 애착관계뿐만 아니라 유가(
儒家)의 자연관, 윤리관,
가족제도 등으로 형성된 구조적이고 기능적 관계
→ 부모나 아동이 개개인 위주의 존재가 아닌,
가정이라는 한 가족공동체의 구성원의 관계로 존재함
○ 부모는 자식을 자애롭지만 엄격하게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고, 부모자녀관계에도 엄격한
상하질서가 요구되었음
→ 자녀의 부모에 대한 관계인 자효(
子孝) 강조
→ 연약한 존재인 아동에 대한 부모의 희생이나 봉사를 강조한 만큼 부모에 대한 보은(
報恩)의
자세로 효성을 요구함
○ 부모에게 효도한다는 것 = 봉양과 존경, 절대적 복종
→ 효 = 도덕의 근본
○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부모자녀관계의 변화
태아기~10세 이전 : 어머니에게 자녀양육의 책임이 있다고 봄
10세 : 성별에 따라 교육 내용의 변화,
남아는 아버지와 여아는 어머니와 긴밀해짐
무조건적 보호와 자애로운 양육태도 → 엄격한 양육태도

 

2. 불교의 아동발달관
1) 불교의 유아발달관
주체적 인격체라는 점에서 성인과 동일시
아동은 스스로 독자적 존재로서 우주관과 진리관을 가지고 있음
아동은 수행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태어난 업(
)을 개선하고 불성(佛性)을 발휘하여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으나, 아직 미혹하므로 일차적으로 보호하고 교육해야 할 존재

 

2) 발달의 요인
○ 불전
아동발달은 부모로부터의 유전과 현재의 환경, 아동 개인의 의지가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짐
→ 인간이 비록 유전과 지난 생의 업에 의한 어떤 결과로 탄생 했을지라도, 개인의 의지와
환경에 의해 앞으로의 발달이 향상될 수 있음

 

○ 석존
인간의 신체적 형상뿐만 아니라 정신적 특성도 모두 과거 행동의 결과
→ 부모로부터 신체적 특성이 유전될 뿐 아니라, 윤회를 통해 정신적 특성도 과거 행동의 결과로
전해짐.
→ 타고난 유전과 지난 생의 업에 대한 정신적 특성보다 더 중요한 것은 환경과 개인의 강력한
의지!!

 

3) 발달의 단계
불교에서는 인간의 발달이 한 생(
)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12연기(緣起)의 연속성으로 인해 그
자신의 업(
)에 따라 윤회한다고 봄
불교에서 인간의 발달단계를 나누는 것은 명확하지 않음

3) 발달의 단계
① 태내기(
胎內期)
불교에서는 인간의 생이 윤회(
輪廻)하는 가운데 인연에 의해 현생(現生)에서 부모와 자녀관계가 성립한다고 봄

불교에서는 수태의 순간을 한 인간의 초기 형태로 봄
예) 증일아함경(
增壹阿含經)
태아의 발달 단계 : 태내기간을 약 38주로 보고 각 주의 성장과정을 자세히 언급
→ 수행도지경, 불설포태경, 대보적경, 해탈도론 등
→ 오늘날 의학의 발달을 통해 관찰된 연구결과와 거의 일치

 

② 태외기(胎外期)
아기가 탄생한 후의 단계
발달의 최종 목표가 깨달음에 도달하는 것이고 이러한 목표는 연령에 관계없이 해당하기 때문에
불전에서는 발달단계를 초생(
初生), 영해(嬰孩), 동자(童子), 소년(少年), 성년(成年), 쇠노(衰老)
등으로 나누고 있지만 각 단계마다의 과업은 설명하지 않음
아동기 : 초생(
初生), 영해(嬰孩), 동자(童子) 및 소년기(少年期) → 일차적으로 성인의 보호가
필요한 시기

 

4) 발달목표와 교육내용
○ 인간발달의 궁극적 목표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즉 윤회와 그것의 고통을 없애고 깨달음에 이르는 것
- 인간을 생로병사(
生老病死)로 인해 계속적인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경험하는 존재로 보고,
윤회의 고통을 없앨 때만이 인간발달의 최종목표에 도달한다고 봄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한 수행방법
→ 초심자: 도덕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으로부터 시작해야 함
→ 특히 아동의 경우는 미성숙하므로 성인의 보호와 가르침이 필요
→ 불전: 깨달음을 위한 대표적인 교육방법으로 사성제와 팔정도 제시

 

5) 부모자녀관계
○ 불교에서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생물학적인 관계를 넘어 태아의 발생까지
다겁다생(
多劫多生)의 인연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봄
○ 부모는 자녀를 태아 때부터 보호하고 적절히 교육시킬 권리와 의무가 있으며, 자녀는 이러한
부모의 은혜를 갚고자 노력해야 함을 강조
○ 『부모은중경(
父母恩重經)』
- 부모와 자녀관계에 대한 대표적 경전
-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 나아가 자식이 부모의 은혜를 또 갚아야 한다는 내용 제시
○ 『부모은중경(
父母恩重經)』의 열 가지 부모의 은혜
첫째, 열 달 동안 어머니 뱃속에서 품고 지켜주신 은혜
둘째, 해산에 임하여 그 큰 고통을 견디시던 은혜
셋째, 자식을 낳고서 모든 근심을 잊어주신 은혜
넷째, 쓴 것은 삼키고 단 것은 뱉어서 자식을 먹이시던 은혜
다섯째, 진자리 마른자리 가려 뉘시는 은혜
여섯째, 젖을 먹여 길러주신 은혜
일곱째, 손발이 다 닳도록 깨끗하게 씻어주시던 은혜
여덟째, 자식이 먼 길을 떠났을 때 걱정하시던 은혜

아홉째, 자식을 위해서라면 온갖 궂은일도 마다하지 않으신 은혜
열째, 죽을 때까지 자식을 안타까이 여기시는 은혜

 

3. 우리나라의 아동발달 이론에 대한 평가
1) 기여
○ 인간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유전과 환경 그리고 개인의 의지, 이 삼자의 상호작용을
강조함
○ 서양에서는 양적인 성장과 변화가 눈부시게 나타나는 생의 전반부, 즉 출생 후 청년까지의
발달에만 초점을 맞추어 오다가 최근에 인간발달에 대한 전생애적 접근을 시도하였지만
우리나라는 이미 조선시대에 인간발달의 전 생애적 접근을 시도하여 태내기에서 노년기까지의
단계를 상세히 다루고 있음
○ 수태되는 순간부터 하나의 온전한 생명체로 인정하였으며, 이는 인간생명의 존중사상과 더불어
오늘날 발달된 태아과학의 관점에서 볼 때도 매우 과학적인 사고였음
○ 서양에서는 정신과 육체, 이성과 감성, 인지와 정서를 구분해 온 이원론적 사고에 따라 인간의
인지, 정서, 사회성발달 등을 각기 별개의 차원으로 간주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일원론적
사고를 바탕으로 신체의 변화를 비롯하여 인성의 발달이나 사회적역할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발달관을 적용하였음

 

2) 비판
○ 전통사상에서 나온 아동발달관 내지 발달이론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음
○ 현대 사회에 적합한 아동발달이론을 아직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