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합리적 신념 최소화 및 합리적 신념으로 대치가 목적
- 인지적 기법
- 정서적, 환기적 기법
- 행동적 기법
(1) 역기능적 사고 기록지
⊙ 역기능적 사고를 일으킨 상황, 감정, 행동 반응 기록
- 역기능적 사고의 내용 탐색
- ’반드시 ~ 이어야 한다‘, ’절대로 ~ 해서는 안된다‘ 등
- 합리적 반응과 사고 모색의 출발
(2) 암시
⊙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부정적인 사고를 긍정적 사고로 대처하는 방법을 보여줌
- 내담자가 자신, 타인 또는 세계에 대한 자기패배적인 진술을 거듭할 때
- 내담자에게 개선 가능성을 암시
(3) 자기방어의 최소화
⊙ 내담자가 자신의 잘못 때문에 무시나 경멸을 당할 이유가 없음을 보여줌
- 자기 방어를 최소화시킴
(4) 대안 제시
⊙ 내담자가 스스로 대안을 찾도록 격려
- 내담자가 생각하는 이상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가능한 모든 대안의 파악을 돕기
(5) 기분 전환하기
⊙ 이완훈련, 요가, 운동 등 신체 활동
- 자기 패배적 생각이나 행동 대신 다른 일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함
- 장기적으로 몰두할 관심거리를 갖도록 도움
(6) 정확한 언어사용
⊙ 절대적 표현의 제거
- 언어가 사고를 만들고 사고가 언어를 조형
- ’반드시 ~ 해야 한다‘ → ’~ 하고 싶다’, ‘~하면 불편하다’ 등으로 대치
(7) 유머
⊙ 경직되고 과장된 사고가 문제 상황으로 갈 때 유머 사용
- 내담자의 유머 사용 강조
- 불안 감소
⊙ 내담자가 자신을 정직하게 표현하고, 부정적 경험을 인정
- 정서적 모험
- 정서적 개방
(1) 합리적 정서 상상
⊙ 부정적 정서 상상
- 어떤 상황에서 늘 느껴온 부적절한 정서를 느끼고 있는 자신을 상상
- 부적절한 정서를 적절한 정서로 대치시키는 자신을 생생하게 떠올림
⊙ 긍정적 정서 상상
- 불쾌한 장면을 상상
- 자기 감정의 기초가 된 신념에 집중
- 비합리적 사고를 포기하고 합리적 사고로 대체 했을 때 느낌에 초점
(2) 수치심 제거 연습
⊙ 내담자가 부끄럽게 느끼는 행동을 하도록 과제 부여
- 수치심 혹은 자기비난은 정서 장애의 주요 핵심
- 타인이 내담자가 생각하는 만큼 남의 일에 관심이 없음을 깨달음
- 다른 사람의 비난에 지나치게 영향 받을 필요가 없음을 깨달음
(1) 행동실험
⊙ 내담자의 사고의 타당성을 직접적으로 검증하는 기법
- 실제 내담자가 생각하는 행동을 해 보고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실험
- 내담자가 자신의 생각이 비합리적이고 타당하지 않음을 직접 확인
- 예: 다른 사람의 부탁을 거절- 친구가 정말로 화를 내고 싫어하는지 확인
(2) 강화기법
⊙ 강화기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행동 증가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32. 집단상담의 형태와 장단점 (0) | 2024.02.28 |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31. 집단상담의 개념과 목표 (1) | 2024.02.27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29. 인지정서행동 치료적 관점의 상담 목표와 상담 과정 (1) | 2024.02.26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28. 인지정서행동 치료적 관점의 인간관과 주요 개념 (0) | 2024.02.26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27. 상담 기법 (0)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