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도정치
-순조: 노론세력 정국 주도→신유박해로 남인세력 제거, 장용영 혁파, 훈련도감(병권장악)
암행어사 파견, ‘만기요람’ 편찬
-헌종•철종: 경화사족 득세→비변사를 통해 권력 장악•정치 운영, 벼슬관직 매매 성행
2. 신분제 변동
-향반(중앙정치 관여 못하는 양반)과 잔반(몰락한 양반)→농민층과 같은 처지
-중인: 기술직, 서얼→신분상승운동 벌임, 위항문학을 통해 사회와 국가에 대한 불만과 저항을 표출
-노비제 점진적 해체
3. 향촌 사회의 변화: 제지사족 우세, 오가작통법(수령의 지방 통치 세심히 관리)
4. 농민항쟁(삼정의 문란이 원인)개선방안으로 삼정이청정(삼정을 크게 고칠 수 있는 방안) 마련했지만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다. 부세의 문란한 수취 때문에 봉기.
-경상도 진주에서 처음 일어남
-홍경래의 난(평안도): 홍경래, 우군직, 김사용 주도
서북인에 대한 뿌리 깊은 정치적 차별 대우
-삼정의 문란: 전정(각종 부가세), 군정(황구첨정, 백골징포), 환정(환곡, 1/10 이자)
-진주농민항쟁
5.문화 변동★
-학문의 발달: 서민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문학, 놀이
지배층 부정과 비리 고발
서양문물 전래(천문역법, 화포제작법, 기중기)
우리민족의 전통과 현실에 관심(안정복:동사강목, 한치윤: 해동역사, 신경준: 훈민정음운 해, 유희: 언문지)
지도의 제작과 지리서 편찬 활발(김정호: 대동여지도)
백과사전류 저서 많이 편찬(이익:성호사설, 이덕무:청장관전서, 이규경:오주연문장전산고, 홍만선: 산림경제, 서유구: 임원경제지, 허준:동의보감, 이제마: 동의수세보원)
-한글과 사설시조의 발달: 춘향전, 심청전(한글소설), 판소리와 탈춤
-회화의 발달: 진경산수화(정선), 김홍도(풍속화), 신윤복, 민화, 김정희(추사체)
-천주교 탄압
-민간신앙의 성장: 정감록, 미륵신앙, 동학(최제우)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0. 주권국가 건설운동과 일제의 한국 강점 (0) | 2022.05.26 |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8. 외세의 침입과 근대 변혁 운동 (0) | 2022.05.25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6. 조선후기 정치 변동과 경제 발전 (0) | 2022.05.23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5. 조선건국과 국가 운영 (0) | 2022.05.22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4. 고려의 성립과 발전 (2) | 202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