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치체제: 성리학, 의정부, 6조, 승정원(왕의 비서), 의금부(죄인형벌), 춘추관(역사편찬)
삼사★(사간원:국왕에게 간언, 사헌부:관리의 비행감찰, 홍문관: 국왕자문기관)
성균관, 유향소(수령권 견제 및 협조, 지방풍속교화), 향리(수령보좌관리), 경국대전(성종완성)
2. 세종: 집현전(옛 제도 연구와 편찬산업, 경연, 서연), 훈민정음, 농사직설
공법시행(전분6등법:토지비옥도, 연분9등법:풍흉정도)-조세 부과의 형평성과 정확성 높이고자 시행함
4군과 6진(여진족 침략 방어)
3. 사회경제: 균역-대립(정병대신하여 군인 노릇해주고 면포받는 사람), 방군수포제,
납포군(군역의 대가로 군포를 내는 방식)
공납-토산물 바침, 대납 방식 등장, 방납(현물 납부 방해)성행
수미법(공물을 현물 대신 쌀로 냄) →대동법(광해군)
신분제-양천제/양반, 중인, 상인, 노비 등 복잡한 계층으로 구성
토지: 과전법→직전법(세조)→관수관급제(성종)
4. 대외관계: 명(사대관계), 여진•일본(회유와 응징의 교린관계)
5. 문화와 예술: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한문을 풀이하는 수단으로 활용)
6. 세력: 훈구파(개국공신, 정난공신)
사림파(성종 때 등장, 성리학 원칙 중요)
7. 사화:사림들이 훈구의 정치적 공격을 받아 입은 사건
-중종반정: 조광조의 도학(왕도)정치, 현량과 실시(인재등용), 소격서혁파(토지와 노비 제한 ),
위훈삭제(가짜공신 삭제)
8. 성리학 실천의 현장: 재지사족의 자율성 인정, 서원(사림기반, 최초의 사액서원은 소수서원),
향회(유향소 임원선출), 향안, 향약(향민 사이의 상호부조 도모)
유향소(향리감독, 수령보좌, 지방풍속을 바로잡는 일을 담당)
9. 왜란과 호란
-왜란: 임진왜란★-조선, 일본, 명이 참여, 도요토미히데요시, 명(평양성전투 승리)
정유재란-직산 패배
명랑해전-도요토미히데요시 사망→도쿠가와 이에야스로 정권바뀜
-호란: 인조반정→정묘호란(후금)→병자호란(청):주화론과 주전론→남한산성에서 삼전도(인조의 삼배구고두)
10. 16c 중•후기 조선 사회: 주자가례(종법질서가 확립되면서 변화된 가족제도)
-족보와 가문을 따지는 문화, 장자우선,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부계남성위주의 가족질서
-붕당 중심의 사림정치, 서원과 향약을 기반으로 한 향촌질서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7. 사회 변동의 심화와 농민 항쟁 (0) | 2022.05.24 |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6. 조선후기 정치 변동과 경제 발전 (0) | 2022.05.23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4. 고려의 성립과 발전 (2) | 2022.05.21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3. 통일신라와 발해 (0) | 2022.05.20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2. 삼국의 성립과 발전 (0) | 2022.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