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려 전기
역분전제도(지방군현의 이름을 정해 등급 결정 ), 훈요십조 (적극적 불교지원 )
②광종★: 노비안검법, 과거제, 백관의 공복제정, 독자적 연호사용→왕권강화정책
③성종: 지방관 파견, 시무28조, 중추원설치, 12목에 지방관 파견, 국자감, 항교설립
중국의 6성 6부 모방 정비
④정치기구: 중추원(중대사 의논, 왕명출납, 왕궁호위, 군사기밀), 중서문하성(국가정책결정),
도병마사(국방에 관련), 식목도감(법과 관련), 어사대(감찰기관), 삼사(회계)
사관(역사편찬)
⑤신분제: 문벌귀족 등장(전시과: 수조권지급, 음서제, 공음 전시법:상속가능)
양천제(정호, 백정, 잡척, 천민), 본관제(이주금지), 여성에 대한 제약적 차별
⑥귀족문화: 의천:해동 천태종, 교관검수, 풍수지리설(못자리 풍수 없음),
김부식: 신이사관 비판, 삼국사기, 청자유행:상감청자
⑦무역: 거란(서희:강동6주, 귀주대첩)
거란(책봉-조공관계), 송(가장 활발한 무역)
→ 벽란도★를 통해 왕래
2. 고려 후기(4문제)
인종 무신정권
이자겸의 난 최씨 정권 집권: 삼별초
서경천도(묘청제안) 최충헌: 교정도감(정책결정), 봉사 10조
김부식의 의해 진압 최우: 정방설치(인사권)
①농민•천민의 항쟁★
-조위총의 난
-농민: 망이•망소이의 난, 김사미•효심의 난
-천민: 만적의 봉기
cf)이언년의 난: 백제부흥
②몽골(원)침략→산성•해도 입보책(산성이나 섬으로 대피)
-다루가치: 고려 내정간섭 / 정동행성: 일본공격
③신분제: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실무능력 갖춘 향리, 과전법 제정, 성리학 수용,
불교배척(정도전의 불씨잡변)
④공민왕: 반원운동(친원세력 제거, 쌍성총관부 공격, 신돈의 전민변정도감 설치)
홍건군의 침략으로 중단
⑤불교: 지눌-정혜결사 조직, 수선사 창립, 돈오점수, 정혜쌍수,
선•교 통합(승려 및 지식층 참여)
요세-백련결사(일반 민중 호응)
⑥문화: 이규보(동명왕편), 일연(삼국유사), 이승휴(제왕운기)
단군신화
활자-세계최초기록(상정고금예문), 세계최초금속활자본(직지심경)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6. 조선후기 정치 변동과 경제 발전 (0) | 2022.05.23 |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5. 조선건국과 국가 운영 (0) | 2022.05.22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3. 통일신라와 발해 (0) | 2022.05.20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2. 삼국의 성립과 발전 (0) | 2022.03.09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 선사시대의 전개와 고조선의 성립 (0) | 202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