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4. 고려의 성립과 발전

한국사의 이해

by riho❤️ 2022. 5. 21. 07:12

본문

반응형

4. 고려의 성립과 발전

1. 고려 전기 

 

역분전제도(지방군현의 이름을 정해 등급 결정 ), 훈요십조 (적극적 불교지원 )

광종: 노비안검법, 과거제, 백관의 공복제정, 독자적 연호사용왕권강화정책

성종: 지방관 파견, 시무28, 중추원설치, 12목에 지방관 파견, 국자감, 항교설립

중국의 66부 모방 정비

정치기구: 중추원(중대사 의논, 왕명출납, 왕궁호위, 군사기밀), 중서문하성(국가정책결정),

도병마사(국방에 관련), 식목도감(법과 관련), 어사대(감찰기관), 삼사(회계)

사관(역사편찬)

신분제: 문벌귀족 등장(전시과: 수조권지급, 음서제, 공음 전시법:상속가능)

양천제(정호, 백정, 잡척, 천민), 본관제(이주금지), 여성에 대한 제약적 차별

귀족문화: 의천:해동 천태종, 교관검수, 풍수지리설(못자리 풍수 없음),

김부식: 신이사관 비판, 삼국사기, 청자유행:상감청자

무역: 거란(서희:강동6, 귀주대첩)

 

거란(책봉-조공관계), 송(가장 활발한 무역)

 → 벽란도를 통해 왕래

 

 

2. 고려 후기(4문제)

인종 무신정권

이자겸의 난 최씨 정권 집권: 삼별초

서경천도(묘청제안) 최충헌: 교정도감(정책결정), 봉사 10

김부식의 의해 진압 최우: 정방설치(인사권)

농민천민의 항쟁

-조위총의 난

-농민: 망이망소이의 난, 김사미효심의 난

-천민: 만적의 봉기

cf)이언년의 난: 백제부흥

몽골()침략산성해도 입보책(산성이나 섬으로 대피)

-다루가치: 고려 내정간섭 / 정동행성: 일본공격

신분제: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실무능력 갖춘 향리, 과전법 제정, 성리학 수용,

불교배척(정도전의 불씨잡변)

공민왕: 반원운동(친원세력 제거, 쌍성총관부 공격, 신돈의 전민변정도감 설치)

홍건군의 침략으로 중단

불교: 지눌-정혜결사 조직, 수선사 창립, 돈오점수, 정혜쌍수,

교 통합(승려 및 지식층 참여)

요세-백련결사(일반 민중 호응)

문화: 이규보(동명왕편), 일연(삼국유사), 이승휴(제왕운기)

단군신화

활자-세계최초기록(상정고금예문), 세계최초금속활자본(직지심경)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