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2. 삼국의 성립과 발전

한국사의 이해

by riho❤️ 2022. 3. 9. 07:14

본문

반응형

 

<삼국의 성립과 발전>(2문제)

-삼국의 특징: 연맹체 국가, 부체제, 신분제도(신라는 골품제, 화랑도(풍류도)), 고분벽 화, 철제 농기구 보급, 우경, 수리 시설 개간, 불교 전파, 서역문화 전래, 활발한 외 교문화 교류, 녹봉 지급(신라는 조세를 거둘 수 있는 권리인 녹읍식읍을 지급), 시 장형성, 평민에게 조세와 역역, 군역

고구려(5) 백 제(5) 신 라(6)
<태조왕>
-도읍을 국내성으로 옮김
-동옥저 정복
-대외정복 활발하게 추진
<근초고왕>
-한반도 최강의 국가
-평양성전투 승리
 
<고국천왕>
-진대법(빈민구제)
   
<소수림왕>
-불교수용
-율령반포
-태학설립(유학수용)
<침류왕>
-불교수용
<법흥왕>
-불교 수용(이차돈 순교): 삼국 중 가장 늦게 불교 수용
-율령 반포
<고이왕>
-율령반포
-관직체계 마련
<광개토대왕>
-북진정책
<성왕>
-나제동맹결렬
-수도를 사비로 옮김
-국호 남부여라함
-중앙에 22, 지방 5부와 5방 설치
-관상성전투에서 패하여 숨짐
<진흥왕>
-한강유역 차지
-대가야 정복
-관상성전투 승리



<장수왕>
-남진정책
-평양성으로 도읍 옮김
<영양왕>
-수양제-을지문덕-살수대첩()
-당태종-연개소문 정변
-양만춘-안시성전투()
   

부과

-회의 제도(고구려: 제가회의, 신라: 화백회의, 백제: 정사암회의)

-임신서기석: 삼국통일 이전 신라에서 유학이 널리 보급되었음을 알려주는 증거자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