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립협회: 서재필, 계몽적 성격 강함(신교육 진흥, 산업개발, 위생 및 치안, 민족문화, 신문 보급),
독립신문 발간, 만민공동회(정부에 비판적 계열) 개최
2. 관민공동회(정부에 협조적 계열): 헌의 6조 결의(왕권의 안정, 각종개혁 추진, 국권 강화)
3. 고종: 대한제국 수립(국호를 대한제국, 연호를 광무라 함), 전제군주정(입헌군주정 거부)
구본신참, 양지아문 설치, 토지조사사업과 지게 발급 실시, 원수부 설치
중립화 정책
4.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의병항쟁, 계몽운동
-러일전쟁 승리로 통감부 설치(사실상 식민통치 시작), 군대해산, 사법권과 경찰권 빼앗음,
의병 토벌,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억압, 을사조약 체결→차관정치 실시
5. 문명계몽운동
-국채보상운동 전개(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제국신문, 만세보 참여), 상공업진흥, 교육•언론 활동 등 대중 계몽운동(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 헌정연구회→대한 자강회로 개편하여 활동
-신민회 조직★: 비밀결사조직형태, 합법적인 대중 활동 힘씀, 신교육•신사상 교육운동,
학교설립, 학회활동, 출판물보급, 상무동사와 평양자기회사 등 경제단체 설립→105인 사건으로 무너짐
6. 후기 의병운동: 참여 계층 확대, 반침략항쟁의 성격이 강함
-평민의병장 등장(신돌석)
-헤이그특사 사건을 계기로 군대해산→의병에 가담
-양반 유생 의병장(이인영)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의병항쟁이 치열하게 전개→남한 대토벌 작전→만주와 연해주 지방으로 근거지 마련→의병항쟁, 의열투쟁
7. 사회•경제적 변동
-아관파천 이후 신분제 페지→사회적 평등 기틀 마련
-평민•천민 민족운동에 나섬
-여성의 사회적 진출 활발
8. 일제 침탈
-철도부지•군용지 확보, 재정정리 사업 착수, 제일은행권 본위 화폐 삼음(화폐정리 사업)
동양척식주식회사(약탈한 토지 관리, 일본인의 조선 이주 조력)
9. 문예의 새 경향
-개항이후 신소설, 신체시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문학 등장
-국학은 대한제국 시기에 들어와 더욱 발전
-신채호(독사신론)는 일본의 식민사관 비판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2. 대공황과 전시체제, 민족해방운동과 사회변화 (0) | 2022.05.28 |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1. 일제의 식민 지배와 민족 해방 운동의 전개 (0) | 2022.05.27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8. 외세의 침입과 근대 변혁 운동 (0) | 2022.05.25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7. 사회 변동의 심화와 농민 항쟁 (0) | 2022.05.24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6. 조선후기 정치 변동과 경제 발전 (0) | 2022.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