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대공황과 전시체제, 민족해방운동과 사회변화>
세계공황→만주침략(군수부문, 중화학 공업 확장)→중일전쟁→태평양전쟁
1. 일본의 공황기 정책
-농촌진흥운동: 식량충실, 자력갱신
-조선공업화 촉진,
-조선사상범 보호관찰령
-경무관제도 실시
2. 공황기 민족해방운동: 혁명적 노동조합과 농민조합 설립(조선공산당 토대)
이재유그륩활동
한글보급운동(조선일보), 브나로드 운동(동아일보/문맹퇴치)
3. 중일전쟁이후 일본정책-황국신민화 정책★
-내선융화, 내선일체 강조, 황국신민서사, 신사참배, 일선동조론, 창씨개명, 황국신민학교(국민학교), 국민정신총동원운동, 학도지원병 강행, 징병제실시, 정신대, 근로동원, 물질수탈, 공출제도 실시, 위안부
4.국내민족해방운동:조선학운동,원산그룹(이주하), 경성콤그룹(박헌영),
건국동맹(여운형, 건국준비위원회 밑거름)
5. 만주사변 이후 1930년 무장독립전쟁(국외 활동한 항일무장단체)
-지정천: 한국독립군→임시정부와 합류→한국광복군 창설의 주역
-양세봉: 조선혁명군→중국인 부대와 연합활동
-중국공산당(동북항일연군):조국광복회 결성, 보천보전투
-조선의용대(중국 국민당 지원)조직:조선의용대화북지대로 이름 변경
-한국독립당(김구, 조소양, 지청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집권 정당 성격, 건국강령
6. 전시체제속의 삶의 변화★: 국민복, 몸빼, 교련수업, 출산장려, 모성애 강조(군국의 어머니)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4. 경제성장과 민주화, 그리고 평화통일을 위한 대장정 (0) | 2022.05.30 |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3. 해방과 분단 (0) | 2022.05.29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1. 일제의 식민 지배와 민족 해방 운동의 전개 (0) | 2022.05.27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0. 주권국가 건설운동과 일제의 한국 강점 (0) | 2022.05.26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8. 외세의 침입과 근대 변혁 운동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