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제개발(1960년대)★
-미국원조(대충자금): 1960년대 무상원조에서 유상원조로 바뀜
-경제기획원 조직: 한일협정•베트남 파병→자금동원→경제개발계획 실시
-경공업(1960년대)→중화학공업(1970년대)으로 전환
-경제위기: 8•3조치(부실기업의 부채 탕감)→재벌등장(대기업)
2. 냉전체제하에서의 민주화
-이승만: 사사오입개헌(초대 대통령에 한해서 무제한으로 대통령 연임)
4•19혁명(3•15부정선거 규탄 시위, 김주열 학생의 시체 발견되며 전국으로 확산, 시민의 힘으로 정권 교체) →이승만 하야
-박정희:삼선개헌(대통령이 세 번 연임), 경제개발계획 성공적 수행
6•3 사태(한일협정 반대시위 탄압)
급속한 개발 추진 후유증:와우아파트 사건, 대연각 호텔 화재 사건, 전태일 분신사건
10•17 유신선포(국회해산)
7•4 공동선언(남북적십자회담):조국통일원칙-자주적 해결, 평화적 실현, 민족적 대단결 도모
10•26사건(유신체제 막내림)→서울의 봄
-신군부:5•17 계엄령 선포→6•29선언 발표(대통령 직선제, 6월 항쟁)-민주화 선언
3. 1980년대 한국 경제 위기
-IMF(국제통화기금) 요구를 수용: 비정규직이 급격하게 증가, 한국사회의 다원화 진행, 외묵문화 유입 및 한국의 대중문화 확산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3. 해방과 분단 (0) | 2022.05.29 |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2. 대공황과 전시체제, 민족해방운동과 사회변화 (0) | 2022.05.28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1. 일제의 식민 지배와 민족 해방 운동의 전개 (0) | 2022.05.27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0. 주권국가 건설운동과 일제의 한국 강점 (0) | 2022.05.26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8. 외세의 침입과 근대 변혁 운동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