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단통치 실시
-일제:조선총독부(입법•사법•행정•군사 등 모든 권한을 쥠), 헌병경찰제도 실시, 조선교육령 발표,
토지조사사업, 조선회사령 공포, 산림령 및 임야조사 사업 실시
-조선:농민의 지위 불안정, 조선인 노동자(자유 노동자, 광산 노동자, 공장 노동자, 날품팔이, 지게꾼, 인력 거꾼)의 열악한 노동 조건
2. 비밀결사 조직: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 북간도, 상하이, 미주, 멕시코 등 에서 활동
3. 3•1운동: 임시정부 수립에 결실
4. 문화통치★: 헌병경찰제도에서 보통경찰제도로 변화, 고등교육억제, 산미증식계획실시,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일부 허용, 잡지 검열, 회사령 철폐
5. 실력양성운동(물산장려운동)★: 토산품 애용(조선인이 만든 물건을 쓰자)
민립대학 설립운동(교육진흥) 방해→경성제국대학 설립
6. 독립운동: 중국 정부 지원→충칭에 정착(충칭 임시정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국민대표회의 개최
개조파: 현정부 개조, 안창호
창조파: 임시정부 해체, 새정부 설립, 신채호
정부옹호파: 임시정부의 현상유지, 김구
-한인애국단 활동(김구가 조직한 항일무력단체): 이봉창, 윤봉길
-홍범도의 봉오동 전투, 김좌진의 청산리 대첩(만주지역에서 일본군 격퇴):
경신참변, 자유시사변→3부 조직(참의부, 신민부, 정의부)
-의열투쟁: 김원봉•윤세주의 의열단 결성, 신채호의 조선혁명 선언
7. 사회주의 사상 수용
-러시아 혁명과 제 1차 세계 대전 직후 국제혁명 운동의 영향
-여러 사회주의 서클 생성(조선 공산당, 비타협적 민족주의자)→6•10만세운동 준비
-조선노동공제회: 최초의 근대적이며 전국적인 노동단체
-대중운동: 원산총파업-노동자를 비롯한 민중의 민족해방운동의 역량으로 성장
소작쟁의(암태도 소작쟁의)-1920년대 전반기의대표적인 농민운동
광주학생운동, 여성운동(근우회), 조선형평사(백정의 인권운동, 사회운동 참여)
-신간회(반일민족협동전선)★: 사회주의자 + 비타협적 민족주의: 개인 본위의 조직
→신간회 해소론 결의
8. 사회변화: 국외 이주(연해주, 일본, 하와이), 식민지 중심 도시, 신여성 등장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3. 해방과 분단 (0) | 2022.05.29 |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2. 대공황과 전시체제, 민족해방운동과 사회변화 (0) | 2022.05.28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10. 주권국가 건설운동과 일제의 한국 강점 (0) | 2022.05.26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8. 외세의 침입과 근대 변혁 운동 (0) | 2022.05.25 |
한능검, 방통대, 방송대 농학과 교양 한국사의이해 요점 정리 7. 사회 변동의 심화와 농민 항쟁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