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사회와 디지털문화

방통대, 교양과목, 상식! 정보사회와 디지털 문화 핵심 요점 요약 정리 9. 기술을 보는 관점

제9장 기술을 보는 관점

1기술과 사회진보: 정보사회(새로운 기술 등장), 편리한 생활 약속+어두운 측면 발생

1. 미국 레오 마르크스는 사회진보에 대한 관념의 변화에 따라 기술인식 차이 형성 주장

근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인류의 역사를 진보의 기록으로 파악

-지식 축적 ->자연 파악 ->자연지배 가능 ->정치·사회적 해방의 과정에서 지식 수행 역할 강조

-지식 발전 ->체제의 불합리성 자각 ->정치·사회적 해방(과학기술 발전을 해방 수단으로 인식)

산업사회의 성숙,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기술발전 자체에 열광하는 정서 형성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정치·사회적 해방의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가치를 지닌 것으로 간주

 

2. 진보에 대한 기술관료적 관점(과학·기술 발전을 진보와 동일시하는 관점, 레오 마르크스)

기술관료적이란 이유는 힘·효율성·합리성 향상 자체를 목적인 것처럼 취급하기 때문

-산업계 종사자가 옹호, 인간의 육체를 사물로 취급하여 측정·분석·통제, 최대한의 효율성 확보

과학적 관리론: 발명가+공학자인 프레드릭 테일러가 주장한 경영관리 기법
-시간·동작을 줄이는 최선의 동선 제시, 통제 감독+작업장에서의 효율성 확보 요구
-하루 공정한 작업량 설정(임금 책정),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유인 제공(과중한 노동요구)
-노동자를 기계처럼 취급한다는 비판형성, 작업장에서 갈등을 부추기는 결과 발생

-프레드릭 테일러(과학적 관리론 주장), 헨리 포드(일관공정시스템 구축, 노동리듬 통제)

과학기술에 대한 지배적 관점이던 기술관료적 관점은 20세기 이후 문제 제기(도전)

-과학기술 발전을 선으로 보던 생각을 반성, 발전의 결과에 대한 재검토(파괴적 결과 확인)

-2차 세계대전 이후 핵무기 확산+대량살상무기에 대한 공포 형성(새로운 기술+인류 절멸)

 

3.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화학공업 발전 생산품이 인간 생명+지구환경에 치명적임을 표현

-기술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에 타격을 가한 요인으로 작용 =>식량생산 증가(살충제 위험)

-나일론 섬유·플라스틱 제품 등 생활의 편리함(환경호르몬 등 인체유해물질 함유 발견->재평가)

-에너지 소비+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 자동차+각종 전자제품 사용에 의문 제기

 

4. 기술발전의 의미에 대한 재검토 대표적 사례는 핵 기술발전의 결과

평화적 이용 기술(핵발전소)을 화석연료 감소+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의 효율적 대안으로 평가

-미국 스리마일섬, 구소련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핵폐기물저장·처리기술)로 핵 유용성 재평가

-안전시스템 작동 미비로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유출사건 발생(지진으로 인한 쓰나미가 원인)

1960년대 이후 반핵·환경주의자, 작은 것이 아름답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대안기술 모색

-다양한 사람들이 기술발전과 진보를 동일시하는 기술관료적 관점에 의문 제기

 

5. 기술을 보는 관점의 변화는 기술과 사회의 관계가 변화한 것이라는 인식 발생

-로버트 풀은 기술발전에 사회가 항상 긴밀한 연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강조(기술의 위상 변화)

기술발전은 좋은 것(번영·건강)이라는 인식의 변화(현대인은 환경유지 등 미학적 차원에 주목)

-기술발전에 미치는 공중의 영향(여론결집+압력 행사, 위험+바람직하지 않은 기술 발전에 개입)

-기술을 개발하는 사람들의 변화(소규모 집단이 기술혁신 주체 ->전문가들의 공동참여로 작업)

-전문가는 위계적 거대 조직소속으로 공동참여, 거대 조직의 목표+문화의 영향(개인영향력 축소)

기술 자체의 본성 변화, 20세기 기계와 도구의 힘 증가로 파급력 확대

-전 세계 수요 충족 증폭+문제 발생 =>살충제 DDT, 냉매 염화불화탄소(오존층 파괴->사용금지)

-화석연료 사용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지구를 파괴하는 주범 온실가스

결과를 알 수 없는 복잡성을 지닌 기술, 우주왕복선 첼린저호(연료탱크 폭발)

-결함이 가져올 잠재적 결과에 대한 확신이 없어 우주선 발사 연기 주장 불가

 

2기술과 삶의 질: 소프트웨어 이용 능력의 집단 간 격차 발생, 신기술 효과 재검토 요구

1. 산업혁명 후 기술 발전 속도 가속화(1980, 새로운 기술의 발견+발명+지식의 양 폭증)

-새로 발명+발견된 기술의 수에 대한 양적 변화가 초점의 대상(삶의 질 변화인 질적 분석 미비)

2. 인간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혁명은 신석기 시대 농업혁명과 18세기의 산업혁명

농업혁명은 수렵·채취 활동의 생활양식이 농업·목축 중심 정주생활로 변화(문화 발생)

산업혁명은 기계이용 상품 생산 시스템 보편화, 생산력 향상+물질적 풍요를 가져다 준 변화

-1차 산업(농업) 비중 감소, 2·3차 산업 중요성 확대, 좌식생활 위주 삶으로 연결(화이트칼라)

3. 정보사회의 중요성 강조, 정보혁명을 제3의 혁명으로 평가(인류 삶의 변화에 대한 논의)

-산업혁명 이후 새로 발명+발견된 기술이 우리 삶에 영향을 준 것은 무엇인지 의구심 형성

고령화 사회로 진입(65세 인구 비율이 14%를 넘는 사회),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 증가

-평균수명은 1960(53), 1980(65.9), 1990(71.3), 2005~2010(78.2)

-20년 전(1985~1990) 69.8세에 비해 8.4년 증가, 205038.2%로 세계 최고령 국가로 예상

근대 초기 평균수명 향상에 기여한 것은 위생 향상과 영양 개선(연구 결과)

-평균수명 향상이 이루어진 후에 의료기술 발달(기술이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괴리 발생)

4. 정보기술로 인해 더 편리하고 풍요로워진 것이 어느 정도인지 두 가지 요인 개입

현재까지 정보기술 발전에 의해 우리 삶에 도입된 편리함은 부분적인 것, 근본적 변화는 미비

-TV(여가활동 비중 1), 가전제품(여성 사회진출), 컴퓨터·인터넷(편리한 업무처리 영역확대)

-휴대전화(이동성 증진), 스마트폰(다양한 서비스 혜택+기능 활용 미비->통화수단으로만 활용

-11전화 시대 도래, 모바일 문화 도입(재택근무·원격의료 발전 예측)=>아직은 미비한 상태

정보기술 발전으로 새로운 기기 다수 개발, 새 물건 구입에 의해 삶의 질 훼손 측면 강화

-클린턴의 신경제 시기(1990, 정보기술 발달+물가상승 억제+고도의 경제성장+근로시간 급 증가)

-줄리엣 쇼어(미국인의 노동시간 증가 이유는 소비물품 증가+더 많은 수입 필요했기 때문)

-물질적 소비수준 향상 =>노동시간 증가+여가축소+피로누적+사고발생+삶의 질 하락으로 연결

-너무 많은 소비물품 구입, 구입한 물품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는 결과 초래(주기적 교체)

5. 새로운 사양 컴퓨터, 고화질 디지털 카메라, 신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폰 등 출시

-출시된 기기 구입+이용하기 위해 더 많은 지출 발생 ->삶의 질 하락으로 연결

-과거의 전자기기는 내구성 소비재로 상당 기간 기능 유지, 현재 기기들은 적용주기 단축

-11대의 휴대전화 소유로 통신비 증가, 유료엡 구매도 지출 증가 요인으로 작용

 

321세기식 러다이트 운동인가, 아날로그의 반격인가

1. 21세기식 러다이트 운동 발생(과학기술의 혜택 축소+거부+과거기술 제품 사용자 증가)

-극단적 유형인 시어도어 카진스키(1978~1995년 활동+테러 자행, 가명 유나바머)

러다이트 운동(기계파괴운동): 1811~1812년 사이 영국에서 일어난 사회운동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노동에 비해 적은 임금에 자본가와 맞서 계급투쟁
-영국 정부는 탄압, 폭동은 가난 때문에 생긴다고 지식인들이 동조
-폭력 투쟁의 한계 발견, 의회민주주의 투쟁 방향 전환, 차티스트 운동 또는 차티즘으로 명명

-대학교와 항공사 겨냥, 우편물 이용한 폭탄테러 자행(3명 사망, 23명 부상 =>종신형 선고)

2. 첨단 기술 혜택 향유,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부분까지만 이용하려는 유형의 사람들 존재

온건한 유형의 기술 거부자로 새 기종 거부+과거의 것 이용(구형 휴대폰, 구체제 컴퓨터)

-새로운 기술을 거부해도 실생활에서는 불편함이 없기 때문(합리적인 소비 생활)

다운사이징족(줄리엣 쇼어)은 소비규모 축소+가족을 소중히 여겨 수입을 자발적으로 포기

-구형기기 사용, 친환경 세제 사용+에어컨 사용 축소 등 환경친화적 행위자들이 범주에 포함

첨단기술 적극 거부, 과거의 생활양식 선택 =>개인적 수준인 경우(귀농인구)

-디지털 기기 거부+아날로그 기기 사용 고집 ->오디오 메니아 등의 유형 포함

적극적인 유형은 20세기 후반의 네오 러다이트 족, 공장·연구소에 폭탄테러 등 사회적 변화 촉구

-지속가능성에 의문+폭력적인 방식 사용->흐름을 바꾸려고 시도(카잔스키)

3. 21세기식 러다이트 운동이 아니라 새로운 트렌드, 아날로그의 반격이라는 시각도 형성

데이비스 색스는 LP레코드·종이수첩·종이책 등을 찾는 사람 증가 현상(아날로그 반격이라 주장)

-디지털 기술이 지닌 근본적 한계가 아날로그 반격의 원인이라고 평가

-디지털이 주는 것은 현실 세계의 풍성함을 흉내 낸 모사에 불과하다고 주장(시뮬레이션)

태생부터 디지털 세대가 아날로그 기술의 매력 발견, 적극적으로 수용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자신의 아이들에게 아이패드 사용금지)

-테크놀로지 산업종사자들(낮엔 코딩+밤엔 LP레코드판 수집+수제맥주 제조+오토바이수리)

새로 개발되는 기술은 인간 삶을 편리해주는 것과 무관(자본의 수익 목적이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