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동 조성(shaping)
♤ 한 번에 달성하기 힘든 목표 행동을 몇 개의 소단계로 나누어 점차적으로 가르치는 기법
- 점진적 접근: 단계적, 점진적 수정
- 예: 자기주장을 하지 못하는 학생
① 자신 있게 자리에서 일어서는 행동 강화
② 다른 학생들 앞에서 똑바로 서 있는 행동 강화
③ 천천히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행동 강화
④ 학생들 앞에서 자신 있게 자기주장을 하는 행동 강화
(2) 행동 시연(behavior rehearsal)
♤ 어려운 상황에서 물러서지 않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 과정
♤ 상담자의 행동 시연을 보고 반복연습하여 일반화된 반응으로 발전
- 점진적 접근을 통해 바람직한 행동 연습
- 바람직한 것으로 결정된 행동을 반복
- 난이도 수준, 스트레스 종류에 따라 등급별 시연 시도
- 외현적 시연
- 상상적 시연
(3) 토큰 강화(token economy)
♤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토큰을 사용하여 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원래 강화의 힘이 없는 자극을 다른 강화물과 연합하여 제시
- 예: 스티커, 도장, 달란트 등 – 숙제 면제, 게임 하기 등
- 강화물이 즉시 제공되지 않아도 효과를 지속할 수 있음
- 강화물을 보관, 관리할 필요가 없음
♤ Skinner의 강화원리 이용
- 행동 변화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
- 유아, 아동, 정신지체아, 자폐아 등의 행동 수정에 용이
(4) 보조법과 용암법(prompting and fading)
♤ 보조법: 내담자가 주어진 과제를 스스로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때 필요한 만큼의 도움 제공
-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도와 내담자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
- 예: 손을 잡고 도와주는 것, 그림카드 또는 약간의 설명을 통해 보조, 과제 수행 중 일부분을
수행해줌
- 도와주어야 할 때(timing)와 필요한 도움의 양을 적절히 조절해야 함
♤ 용암법: 일단 주어진 보조의 양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과정
- 보조법을 통해 과제수행이 어느정도 잘 진행될 때
- 스스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의 양을 점차 줄임
(1)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 Wolpe에 의해 개발
- 다양한 공포증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
♤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에 기초
- 내담자의 높은 공포나 불안 수준의 둔감화를 위해 역조건 형성 사용
- 불안 유발 상황에서 이완된 반응을 하도록 조건 형성
- 내담자를 괴로운 자극에 점차 노출시킴
- 상상 속에서 또는 실제 생활 속에서 실행 가능
♤ 체계적 둔감화의 단계
- 이완훈련
① 단계적 근육 이완 훈련: 근육이 이완된 상태에서는 정신적 긴장이 일어날 수 없음
② 스트레스가 심한 내담자의 경우에도 사용됨
- 불안위계표 작성
① 불안이나 공포를 유발하는 상황에 대해 순서대로 등급 부여
② 가장 약한 상황 ~ 가장 심한 상황
- 체계적 둔감법 실시
① 불안위계표의 가장 약한 상황부터 노출
② 불안 상황에서 이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훈련
(2) 타임아웃(time-out)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 긍정적 자극 제거
- 예: 수업시간에 수업을 방해하는 경우 – 일정 시간 동안 급우들과 격리
- 지루하고 따분한 곳
- 안전하고 밝으며 무섭지 않은 곳
- 10초 이내로 갈 수 있는 곳
(3) 홍수법(flooding)
♤ 불안이나 공포 자극에 많이 노출된다면 그 자극에 둔감해질 것
♤ 불안이나 공포가 심한 대상자를 의도적으로 불안이나 공포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
- 장시간 또는 단시간 동안 격럴하게 내담자에게 불안이나 공포의 대상을 제공
- 내담자 스스로 불안이나 공포가 불합리함을 깨달음
- 예: 동물에 공포를 느끼는 유아
① 동물을 반복해서 만져봄
②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음
③ 동물에 대한 공포감 감소
♤ 체계적 둔감화와 대조를 이루는 기법
- 급진적 노출법
- 내담자의 불안을 높여 심한 불쾌감을 줄 수 있음
(4) 포만법(satiation)
♤ 특정한 문제 행동을 싫증나고 질릴 정도로 실컷 하도록 하여 문제 행동의 감소를 유도
- 예: 초코우유를 원하는 아이 – 초코우유를 질릴 정도로 먹기
- 예: 종이 찢기를 좋아하는 아이 – 한 상자 가득한 종이를 싫증 낼 때까지 찢기
(5) 사고중지(thought-stopping)
♤ 원치 않는 강박적 생각을 억제하기 위한 기법
- 부정적 생각, 자기 패배적 사고를 통제하고자 할 때
- 원치않는 생각을 할 때마다 항상 방해 받으면 결국 그 생각이 사라짐
① 원치 않는 생각을 떠올리고 집중
② 상담자가 “그만!”이라고 소리침
③ 스스로 “그만!”이라고 소리침
④ “그만!”이라고 하는 소리의 정도를 점차 줄여나감
⑤ 스스로에게 조용하게 말해도 강박적 생각을 멈출 수 있음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26. 상담 목표와 상담 과정 (0) | 2024.02.24 |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25. 인본주의 관점의 인간관과 주요개념 (0) | 2024.02.23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23. 행동주의 상담의 상담 목표와 상담 과정 (0) | 2024.02.22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22. 행동주의 상담의 인간관과 주요 개념 (0) | 2024.02.22 |
청소년 생활지도사, 상담사, 심리 등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21. 상담 기법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