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통합적방법 모델
Ⅰ. 통합적 방법모델
▹다양한 통합적 방법모델 개발
*4체계모델
▹핀커스와 미나한에 의해 개발
▹가정: 사회복지실천에 공통적인 개념, 기술, 과업이 있다는 전제
▹목적: 공통된 핵심적 요인을 서로 연관지음으로써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정체성 기초 제공
▹특징: 특정의 독자적인 이론을 기초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당면하는 특수상황에서 이와
같은 이론을 선택적으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절충주의
▹4체계의 구성: 변화매개체계, 클라이언트체계, 표적체계, 행동체계
*생활모델
▹저메인과 기터만이 제시
▹접근방법: 생활과정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도록 하는 실천모델
▹특징: 생태체계적 관점을 이론적 준거 틀로 하여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개인, 집단, 지역사회 등 제반 체계에 개입할 수 있는 신천원칙과 기술 통합
▹함의 :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이라는 문제에 보다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게기 제공
*권한부여 모델
▹소비자중심 접근과 강점관점의 강조 영향
▹클라이언트의 강점에 초점: 문제중심접근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역략강화적 접근
Ⅱ. 문제해결모델
▹1950년대 펄만에 의해 개발되고 콤튼과 갤러웨이에 의해 정교화
▹통합적 방법모델로서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모델로서 최초로 문제를 사회복지실천의 변화표적으로
제시한 모델
가정
▹인간의 삶 자체가 끊임없는 문제해결과정이라는 전제
개별사회사업의 목적 치료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에 대처하는 개인의 능력 향상 : ▹
▹클라이언트의 현재 위기극복을 통해 미래에도 더욱 효과적으로 문제를 다루는 방법 습득 가능
이론적 기반
▹자아심리학: 자아기능 강조
▹듀이의 사상: 인간이 문제해결 등을 추구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활발하게 참여함으로써 자
기를 성장시킨다는 이론
역할이론 역할은 개인의 인성을 표현하는 매개체로서 자기인식 및 정체감과 관련 : ▹
▹역할개념은 개인의 전체적 사회상황을 요약해주고 개인을 사회적 단위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줌
▹사회적 역할: 펄만은 사회적 역할을 사회적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
▹개인은 사람이나 대상에 대해서 어떠한 지위나 행위의 테두리안에 위치한다는 관점
▹체계이론: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관점을 제공해주고 초점을 개인의 행동에 서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으로 바꾸어 이를 이해할 수 있는 구조 제공
▹콤튼과 갤러웨이는 체계이론으로부터 인간은 자아주도적인 행동을 할 수 있으며 새로운 환
경을 창조할 수 있는 능동적인 개인체계 개념, 개방체계와 폐쇄체계, 경계, 변화와 안정성
등의 개념 수용
*관점
클라이언트가 갖는 ▹ 근본적인 어려움은 문제가 아니라 문제해결하는 태도에 있음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방법이 비효과적일 때 개입 필요
*개입목적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능력 회복
* 초점
▹펄만: 개인의 사회적 기능에 문제의 초점
▹클라이언트가 사회적 역할체계 안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클라이언트의 역할체계 에
서의 역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의 노력 강조
▹콤튼과 갤러웨이: 문제의 초점을 개인이나 집단과 그 환경사이의 상호작용에 둠
주요개념
문제 정의
▹클라이언트의 인성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경험하
는 다양한 상황
▹클라이언트체계 내 혹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발생
사회적
체계
변화매개
체계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사를 고용하고 있는 기관 및 조직
▹변화매개인: 계획적 변화를 목적으로 특수하게 고용된 돕는 사람 즉,
사회복지사
클라이언트
체계
▹서비스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
▹변화매개인과 계약이 이루어졌을 때 클라이언트가 됨
표적체계
▹변화매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변화
시키는 것이 필요한 사람
▹클라이언트체계와 같을 수 있음
행동체계
▹변화매개자들이 변화노력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사람들
▹이웃, 가족, 전문가 등
▹변화노력 과정에서 변화매개인은 단계에 따라 여러 다른 유형의 행
동체계와 작업
전문체계
▹전문가단체, 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체계, 전문적 실천의 가치와 재
가 등으로 구성
▹전문체계의 가치와 문화: 변화매개체계인 사회복지사의 행동에 영향
▹사회복지사는 기관의 변화, 사회변화의 대변가로 활동할 때 전문체
계 이용
의뢰-응답
체계
▹클라이언트가 다른 사람의 요청, 법원, 경찰 등에 의해 강제로 오게
된 경우 일반 클라이언트체계와 구별하기 위한 용어
▹의뢰체계: 서비스를 요청한 사람
▹응답자: 강요에 의해 오게 된 사람
관계
치료관계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의 관계는 치료의 도구로서 구조적 으로
사용
클라이언트
역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로 역할
사회복지사
역할
▹클라이언트를 위해서 일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와 함께 작업
▹클라이언트와의 지지적 관계 형성 격려
▹클라이언트 스스로 문제상황에 대한 이해와 인식 명료화 원조
전문적
관계를
위한
핵심요소
▹사회복지사와 다른 체계와의 정서적 유대 포함: 다른 체계와 협조,
교섭, 갈등관계
▹타인에 대한 관심, 공약과 의무, 수용과 기대, 감정이입, 순 수성,
권위와 권력, 목적
치료노력
변화를 위한 클라이언트의 동기 유발 활력 고취 방향성 제시 , , ▹
▹문제를 둘러싼 클라이언트의 정신적, 감정적, 행동적 능력 활성화, 문제대처방식의 반복적 훈련
▹클라이언트가 자원의 발견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문제의 경감 혹은 해결 원조
문제해결
과정
▹4P
▹문제(Problem)를 가지고 있는 사람(Person)이 어떤 장소(Place)에 자신의 문제를 가지고 도
움을 얻기 위해 찾아오게 되며 사회복지사는 이때 클라이언트와 문제해결기능에 관여하게
되고 나아가 문제해결에 필요한 자원을 보완해주는 과정(Prpcess) 활용
[정리하기 ]
1.통합적 방법모델
1)다양한 통합적 방법모델 개발
①4체계모델이란 변화매개체계, 클라이언트체계, 표적체계, 행동체계
②생활모델이란 생활과정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도록 하는 실천모델
③권한부여모델이란 클라이언트의 강점에 초점: 문제중심접근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역략강화적 접근
2.문제해결모델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능력 회복
①변화매개체계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사를 고용하고 있는 기관 및 조직
⋅변화매개인: 계획적 변화를 목적으로 특수하게 고용된 돕는 사람
②표적체계
⋅변화매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한 사람 , 클라이언트
체계와 같을 수 있음
③행동체계
사회복지실천론 이론 요점 정리 4-1 전문적관계의 기본원칙 (0) | 2022.06.06 |
---|---|
사회복지실천 이론 요점 정리 3-3 전문적관계의 기본요소 (0) | 2022.06.05 |
사회복지실천 이론 요점 정리 3-1 통합적방법론의 이론적 기반 (0) | 2022.06.03 |
사회복지실천 이론 요점 정리 2.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0) | 2022.06.02 |
사회복지실천 이론 요점 정리 1.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