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유아발달연구의 역사
1. 고대 유아발달연구
1) 고대 유아발달연구의 특징
◌ 유아발달연구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로부터 시작됨
- 아동관 : 한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가진 독립된 인격체로 보기보다는 종족 보존을 위한 수단적
존재
- 그리스 : 아테네 : 조화롭게 놀이 중시
스파르타 : 독립성이 강하고 엄격한 연대감으로 유아 교육
- 교육사상가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2) 플라톤(Plato, B.C. 427~347)
◌ 이상주의자 : 이데아(관념론) 추구
◌ 인간발달 : 낮은 수준 → 높은 수준
- 욕망(Desire), 정신(Spirit), 신성(Divine)
◌ 인간발달의 단계와 교육내용
- 유아기 : 성격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 → 초기 경험의 중요성 강조, 여러 경험에 의해 성격이
수정될 수 있다는 점 또한 인정
- 3세 : 공포나 고통, 슬픔의 감정 경험하면 안됨
- 3~6세 : 또래와의 사회적 접촉 필요
- 6세 성의 분리 주장
◌ 평가
- 개인차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태교의 필요성 주장
- 학습에 있어 생득관념 주장
- 인간의 특정 행동과 성격에 관심을 가진 철학자
3)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 384~322)
◌ 인간발달의 궁극적 목적, 인간의 본질은 사고할 수 있는 능력과 논리 및 이성을 활용할 수
있는 힘
◌ 인간발달의 단계
- 유년기(생후 첫 7년간)
* 동물과 유사한 발달단계(쾌락 추구, 잠재력)
* 가정교육 시기 –건강교육에 주력
- 소년기(7세~사춘기)
- 청년기(사춘기~21세)
◌ 평가
-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자연물을 존중하고 이를 지배하는 원인들을 탐구하는 현실주의적 입장
- 유전과 전성설 지지
- 과학과 심리학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토대 마련
2. 중세 유아발달연구
1) 중세 유아발달연구의 특징
시대적 배경 : 기독교의 확장과 권력화
전성설(preformation theory , 前成說)
아동 = 성인의 축소판
아동은 ‘발달’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것.
‘정자 속의 축소인간’ : 정자 안에 ‘축소인간’이 이미 만들어져 있다고 생각
3. 17~18세기 유아발달연구
1) 17~18세기 유아발달연구
◌ 17세기 유아발달연구의 특징
▸ 시대적 배경
- 인본주의와 계몽사상 → 아동관 변화
- 루터의 종교개혁 → 일반인에게 공교육의 기회 제공
▸ 성직자, 인도주의자 : 아동교육의 중요성 강조
▸ 성선설 vs 성악설
- 성선설 : 올바른 교육으로 아동의 타고난 선을 보존하고 강화
- 성악설 : 교육의 필요성, 아동의 비합리적이고 잘못된 버릇을 고쳐줘야 하며, 체벌을 포함한
엄격한 훈련 필요
▸ 교육 사상가: 코메니우스, 로크
2) 17세기 유아발달연구
⓵ 코메니우스(John Amos Comenius, 1592~1670)
○ 기독교적 인간주의-내세를 위한 준비
○ 본질적인 목적
- 자기완성, 자기수양, 성격발달
- 교육의 목적이 달성되면 모든 사람들이 지혜롭고 자유롭고 친절하게 된다.
○ 교육단계
- 어머니학교(0~6세), 모국어학교(7~12세), 라틴어학교(13~18세), 청년기 교육(19~24세)
○ 유아기 발달단계
- 영아기, 유아기, 걸음마기, 감각능력기, 행동습득기, 집단교육기
○ 저서
- 세계도회: 세계 최초의 정보그림책
- 대교수학, 서민교육, 아동기의 가치인식, 범지학, 세계평화
○ 교육 방법
- 일반적인 → 특수한 것 순으로 교육
- 단계적 순서, 유아의 흥미, 욕구, 적절한 시기, 충분한 자료 준비
○ 유아교육의 중요성 역설
- 영아기 교육 강조
* “인간의 교육은 인생최초의 시기에 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고, 그 시기를 잃고서는 행할 수
없다”
- 각 유아들마다 서로 다른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
- 국가보다는 가정에서 유아의 잠재 능력 훈련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
⓶ 로크(John Locke, 1632~1704)
◌ 백지상태(Tabula Rasa)
- 인간은 누구나 동등하게 태어나며, 환경과 경험에 따라 차이 발생
- 아동발달에 관한 새로운 이론과 인간 본질에 관한 과학적 연구의 필요성 주장
- 인간의 발달은 점진적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수동적 → 능동적
◌ 저서 : 교육에 관한 단상들
- 자녀교육에 있어 가족의 역할 강조
- 자녀들에게 육성시켜야 할 덕, 지혜, 교양, 지식 등 소개
◌ 교육관
- 지식보다는 지혜와 가치
- 이성 개발에 최대한 관심과 노력
- 이성은 중요한 생존능력으로 욕망과 조화로운 통합을 이루어 덕성을 갖춘 인간으로 성장
◌ 교육방법
- 가정교육 강조
- 아동의 본성이 자연의 원리와 화합하도록 조력
- 지식교육에서 놀이방법 도입(흥미유발)
- 지식은 감각 경험의 사실 관찰에서 나옴
-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학습
3) 18세기 유아발달연구
①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
◌ 선천적인 요인의 중요성
◌ 자연(가장 영향력 있는 것), 자연주의자
◌ 인간의 본성은 선하기 때문에 자연이 이끄는 대로 그대로 두면 바르고 건강한 발달이
이루어진다.
◌ 진정한 교육은 사회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을 때 가능하며, 자발적인
흥미와 욕구가 일어나는 곳에 관심을 모을 수 있을 때 높은 단계의 발달수준에 도달 할 수 있다.
◌ 발달단계
◌ 저서 : 에밀
4. 19세기 유아발달연구
1) 19세기 유아발달연구의 특징
철학자, 생물학자, 교육자, 유아발달에 관한 초기연구자들의 유아전기 발간
이전의 철학적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경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유아의 발달에 대해 관찰하고
기록하며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함
2) 다윈(Charles Darwin, 1809 ~ 1882)
◌ 저서 : 종의 기원 → 진화론적 사고
◌ 진화론적 사고
- 생존경쟁 → 자연도태 → 적자생존
- 동물행동학의 중심 개념
◌ 유인원과 인간의 유사성을 밝히기 위해 자신의 자녀 관찰,
아동 표정관찰 사진 자료 수집
→ 관찰일지 : 현대 질적 연구의 모태
→ 과학적 유아 연구
3) 스탠리 홀(G. Stanley Hall, 1844 ~ 1924)
◌ 유아 연구운동의 창시자
◌ 과학적 아동연구, 발달심리학의 토대 구축
◌ 인간발달 단계
5. 20세기 이후 유아발달연구
1) 20세기 유아발달연구의 특징
○ 교사중심적 전통적 아동교육방법에 대한 반성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스키너의 학습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아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진행에 기여
○ 20세기 초기 아동연구: 연령에 따른 발달 경향 강조
○ 21세기 아동연구: 아동의 특성만을 연구하는 학문
→ 연구 범위 확장
2) 자연적 상황에서 면담과 관찰을 통한 연구
①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 ~ 1939)
○ 정신분석학의 아버지
○ 심리성적이론
○ 정신과 환자들을 관찰, 면담을 통한 치료 → 어린 시절에 대한 관심
○ 유아기 경험의 중요성 강조
○ 인간발달 단계 :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
②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1902 ~ 1994)
○ 심리사회적이론
○ ‘사회적 관계’를 중요하게 보고 ‘자기실현’과 ‘현재 상황’을 강조
○ 유아발달에서 문화적 환경의 중요성 강조
○ 인간 발달에서 전생애발달적 접근
○ 인간발달 단계
- 신뢰 대 불신, 자율성 대 수치와 회의, 주도성 대 죄책감, 근면성 대 열등감, 정체감 대 역할
혼미, 친밀감 대 고립감, 생산성 대 정체감, 자아통합 대 절망감
③ 비고츠키(Lev Semyonovich Vygotsky 1896 ~ 1934)
○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 유아의 발달은 환경과 문화적 요소,
생물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
○ 인간의 언어발달 연구
→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 연구
○ 관찰을 통해 언어가 유아의 인지발달에 상호 영향을 미침
○ 근접발달영역(ZPD), 비계설정
3) 통제된 상황에서 실험을 통한 연구
(1) 학습이론
○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유래
○ 생물학적 요인 < 환경적 요인
○ 대표적인 학자 : 파블로프, 왓슨, 스키너, 반두라 등
○ 의의
- 유아를 둘러싼 환경이 유아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 확인
- 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 객관적 사실에 입각한 이론
○ 비판: 유아발달에 있어 환경의 중요성만 강조
(2)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비판: 유아발달에 있어 환경의 중요성만 강조
○ 피아제의 이론
- 유아의 지식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 유아는 문제들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유아는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가는가
○ 피아제의 실험
- 세 산 모형 실험, 보존개념 실험, 대상영속성 실험
○ 유아기 사고의 특징
① 상징적 사고, ② 자기중심성 ③ 물활론적 사고,
④ 인공론적 사고 ⑤ 보존개념, ⑥ 유목화, ⑦ 비가역성 등
4) 의학 기술을 접목한 뇌 기능 발견을 통한 연구
○ 뇌 기반 학습이론
▸ 21세기 과학의 발달
→ PET(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CT(컴퓨터 단층 촬영) 의료도구 사용
→ 유아의 뇌 연구
→ 유아들에 대한 과학적 이해, 기존 유아발달 이론 검증
▸ 뇌 기반 학습이론
- 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탐구
- 뇌의 영역 :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중뇌, 변연계, 편도, 해마 등
- 좌뇌와 우뇌의 기능, 성별에 따른 뇌 발달, 연령에 따른 뇌 발달 연구 활발
보육교사, 유아교육학과 등 필수! 유아발달 요점 정리 6. 유아발달이론1 : 정신분석이론 (0) | 2022.07.10 |
---|---|
보육교사, 유아교육학과 등 필수! 유아발달 요점 정리 5. 유아발달 연구방법2 (0) | 2022.07.10 |
보육교사, 유아교육학과 등 필수! 유아발달 요점 정리 4. 유아발달 연구방법1 (0) | 2022.07.09 |
보육교사, 유아교육학과 등 필수! 유아발달 요점 정리 2. 유아발달의 쟁점 (0) | 2022.07.08 |
보육교사, 유아교육학과 등 필수! 유아발달 요점 정리 1. 유아발달의 이해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