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자유주의 시장경제의 영향으로 국제교류가 증가하면서 자본과 노동의 자유로운 유입이 본격화 된
오늘날 세계는 하나의 거대한 지구촌을 형성하고 있음
- 한국 또한 국제교류 증가에 따른 국제화, 외국인 노동자의 국내 유입 등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음
- 국내 체류 외국인과 내국인의 결혼 증가, 농어촌 총각들의 국제결혼 증가 등으로 다민족, 다인종 구성
원들이 증가하고 있음
- 1990년대 많은 남성이 서로 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 아시아 국가 여성
들과 결혼하면서 많은 문제를 겪게 되면서 어려움이 많다는 보고가 있음(다른 문화, 많은 연령 차이, 시
무모와의 갈등 등)
-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을 통해 다문화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갈등, 사회적 차별 등이 이슈화 되고
있음
- 다문화가정은 2019년 기준 106만 명이며,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34.4만 명, 자녀 23.8만 명(18세 이
하), 배우자 등 기타 가구원으로 구성되어짐
- (다문화 비중)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의 비중은 9.2%, 전년대비 0.9%p 증가
- (혼인유형) 외국인 아내(67.0%), 외국인 남편(18.4%), 귀화자(14.6%) 순임, 전년대비 외국인 아내와의 혼인은
2.0%p 증가, 귀화자 혼인은 0.8%p 감소
- (출신국적)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국적은
베트남(30.0%), 중국(21.6%), 태국(6.6%) 순임,
전년대비 베트남과 태국의 비중은 각각 2.3%p, 1.9%p
증가, 중국은 3.4%p 감소
- (다문화 비중) 전체 출생 중 다문화 출생의 비중은 5.5%, 전년대비 0.3%p 증가
- (출생유형) 외국인 모(62.8%), 귀화자(21.9%), 외국인 부(15.3%) 순임, 전년대비 외국인 모, 외국인 부 각각
0.8%p, 0.2%p 감소, 귀화자는 0.9%p 증가
- 초·중등학교(각종학교 포함)의 다문화 학생 수는 147,378명으로 전년 대비 10,153명(7.4%↑) 증가
○ 초등학교는 107,694명으로 전년 대비 3,813명(3.7%↑) 증가, 중학교는 26,773명으로 전년 대비 5,080명
(23.4%↑) 증가, 고등학교는 12,478명으로 전년 대비 1,244명(11.1%↑) 증가, 각종학교는 433명으로 전년
대비 16명(3.8%↑) 증가
반면, 유‧초‧중등 전체 학생 수는 6,010,014명으로 전년 대비 126,780명(2.1%↓) 감소
- 이는 전체 다민족, 다인종이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사회로의 변화가 우리나라에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
함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48장. 다문화가정의 어려움과 복지현황 (1) | 2024.06.10 |
---|---|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47장. 다문화가정의 어려움 (0) | 2024.06.09 |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45장.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이해 (2) | 2024.06.07 |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44장. 한부모가족 아동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과제 (1) | 2024.06.06 |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43장. 한부모가족 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 (1) | 2024.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