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보육교사, 사회 복지사 등 보육과정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3. 사회관계영역3

보육과정

by riho❤️ 2022. 6. 28. 12:52

본문

반응형

13. 사회관계영역3

1. 사회관계영역의 환경구성

 

1) 개요
- 영유아에게 보육실은 단지 놀이하고 활동하는 공간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영유아 놀이의 활성화
① 교재교구의 종류와 수가 어떤지에 따라
② 보육실의 배치에 따라
▷ 발달에 적합한 환경구성
① 정서적 안정감을 준다.
② 다른 또래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도
③ 사회관계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2) 보육실 환경구성
물리적 공간 - 공간의 배치(흥미영역)와 공간의 크기(영유아당 필요면적)
보육실을 흥미영역으로 구분 배치 할 때 - 무엇보다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해야한다.
이는 흥미영역의 설치와 교구의 선택에 있어 연령별 적합성과 개별 적합성을 모두
고려해야함을 의미한다.
* 연령별 적합성 - 각 연령대의 발달수준, 개별 적합성 - 유아의 개인차를 고려
* 개인적인 공간 - 유아개별 사물함, 휴식영역, 공적인 공간 – 흥미영역들 개인적 공간과 공적인
공간이 적절히 구성되어야 한다.
공간의 크기와 교사대 유아비율, 집단의 크기등은 영유아의 사회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다.
보육실의 밀도가 높을수록, 즉 적은 공간에 너무 많은 영유아가 있을 경우 이들은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교사 대 유아의 비율과 집단의 크기(소집단/대집단)도 영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대 유아비율이 높은 기관의 유아는 그 비율이 낮은 기관의 유아보다 공격적이었으며
소집단의 유아가 대집단의 유아보다 공격적이었으며, 소집단의 유아가 대집단의 유아보다
긍정적인 정서반응과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을 많이 나타냈다.

 

▷ 교구의 종류와 수
교구의 종류와 수도 영유아의 사회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총이나 칼과 같은 공격성을 유도하는 교구가 있다면 영유아는 총싸움, 칼싸움과 같은
전쟁놀이에 몰두하게 된다.
교구의 수가 영유아에 비해 부족하다면, 영유아는 교구를 서로 차지하기 위해 부정적인 상호
작용을 하기 쉽다.
어린이집에서는 총, 칼과 같은 무기보다는 또래와 함께 놀이할 수 있고, 마음껏 만들어 볼 수
있는 블록과 모래, 물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아반의 경우 또래 간의 싸움을 방지하기 위해 같은 교구를 여러 개 씩 비치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2. 사회관계영역의 실제 활동 예
▷ 표준보육과정의 하위 영역 : 사회관계☞사회적 관계

대상 2세 미만 영아
활동명 엄마, 아빠와 어린이집을 둘러보아요
활동목표 1. 영아가 어린이집에 입학하기 전에 엄마, 아빠와 함께 어린이집을 둘러봄으로써
안정감을 갖도록 돕는다.
2. 영아가 어린이집 환경과 선생님과 친숙해질 수 있다.
3. 부모님이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함께 활동함으로써, 어린이집과 교사에 대해
신뢰감을 갖도록 돕는다.
준비물 영아이름표 3개(영아, 엄마, 아빠), 아이이름이 달린 목걸이 줄과 플라스틱 바늘,
과자
활동 내용 * 도입
1. 교사가 영아를 반갑게 맞이하며, 영아, 엄마, 아빠에게 이름표를 달아준다.
2. 영아의 이름이 붙어 있는 옷장을 알려주고, 그곳에 소지품(가방, 외투)을
넣는다.
* 전개
1. 영아가 부모님과 함께 자기 교실을 둘러보고 자유롭게 놀이한다.(약20분)
2. 자기 이름이 달린 목걸이 줄에 선생님과 함께 과자목걸이를 만든다.(약 10분)
* 마무리
1. 교사는 다 만든 목걸이를 영아의 목에 걸어주며 다양한 피부접촉을 유도한다.
(영아의 머리를 쓰다듬기, 영아가 선생님께 뽀뽀하기, 교사와 포옹하기, 인사하기
등)
2. 더 놀고 싶은 영아는 놀이하도록 하고, 자유롭게 귀가한다.
확장활동 부모님과 함께 어린이집에서 가족사진을 찍은 후 예쁘게 꾸며 교실에 장식한다.
가정 또는
사회와의
관계
영아가 부모님과 놀이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은 후, 어린이집 홈페이지에 올려
부모님들이 자유롭게 보고 필요한 사진을 다운받도록 한다.

▷ 표준보육과정의 하위 영역 : 사회관계☞자기존중영역

대상 만 2세 영아
활동명 오솔길의 발자국
활동목표 1. 발도장을 찍음으로써, 자신의 신체에 관심을 갖는다.
2. 친구들과 협력하여 발도장 찍기를 할 수 있다.
3. ‘발’ ‘다리’ ‘발바닥’과 같은 언어를 익힐 수 있다.
준비물 물감, 롤러, 큰 비닐, 종이전지, 종이접시, 수건
활동 내용 * 도입
1. 유아들과 함께 ‘머리, 어깨, 무릎, 발’ 노래를 부른다.
2. 준비물들을 보여주며, 이것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유아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3. 이 시간에는 숲 속의 오솔길에 친구들의 발자국을 남길 거라고 이야기한다.
* 전개
1. 교실 바닥에 비닐을 깔고, 종이전지를 그 위에 놓는다.
2. 롤러로 물감을 영아의 발에 칠한다.
3. 전지에 걸어다니며 자신의 발도장을 찍는다.
4. 친구들과 함께 걸으며 발도장을 찍는다.
* 마무리
1. 다 찍은 후, 발을 깨끗이 닦는다.
2. 오솔길에 난 발자국을 보며 이야기 나눈다.
“ 누구의 발자국이 가장 큰가?”, “ 발자국을 보니, 기분이 어떠니?”
주의할점 1. 물감을 사용하는 활동을 할 때에는 바닥과 책상에 비닐을 깔아준다.
2. 활동 후 쉽게 화장실을 갈 수 있도록 화장실 가까운 곳이나 보육실 출입문
근처에서 활동한다.
3. 물감이 흐르지 않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묻힌다.
4. 여러 개의 수건을 준비하여 활동 후에는 바로 닦아주도록 한다.
확장활동 1. 발도장을 찍은 종이 위에 다시 비닐을 깔아 보육실 출입문에 놓고, 영아들이
지속적으로 볼 수 있고 또 밟고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한다.
(신체운동 ☞ 신체조절 및 기본운동)
2. 손도장 찍기(예술경험☞예술적 표현)
3. 아이들이 찍은 발도장과 손도장으로 교실 환경 꾸미기(예술경험☞표현적 표현)
가정 또는
사회와의
관계
가정에서 부모님과 근처 공원이나 산에 가서 가족의 발자국을 남겨본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