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 부모라는 주 양육자의 상실을 경험함으로 인해 건강한 애착 발달을 저해하고 심리사회적인 부
적응을 야기한다는 보고가 있음
- 주 양육자와 어린 시절에 분리되는 경험은 아동의 정신건강이나 성격 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침
- 개인차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우울하거나 불안감이 높고, 언어 및 인지발달도 낮으며 대인관계에 있어
서 공격적이거나 거부적인 경향이 있음
- 학교생활도 열등감, 낮은 학업 성취 수준, 낮은 활동 참여도를 보임
- 집단거주하면서 소수의 보호자로 양육을 받는 환경이기 때문에 정서적인 교류가 적고, 심리적 안정감
이 부족하거나 물리적 조건, 문화적 조건 등 여러 측면에서 결핍이 발생하기 쉬움
- 시설에 입소하게 된 아동이 퇴소한 후에 사회의 여러 구성원들과 성공적인 상호협조관계를 통해서 안
정적인 자립생활을 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 자립지원은 독립 상태를 이끌기 위해 성인 생활에 필요한 유형과 무형의 기술개발을 돕고 정서적인
지지체계를 강화하는 것임(보건복지부, 2011)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57장. 시설보호 아동을 위한 과제 및 앞으로의 개선방안 (0) | 2024.07.03 |
---|---|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56장. 보호대상 아동을 위한 자립지원 (0) | 2024.07.02 |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54장. 시설보호아동을 대한 이해 (0) | 2024.06.30 |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53장. 가정위탁보호 아동을 위한 과제와 앞으로의 개선방안 (0) | 2024.06.28 |
복지직 공무원, 사회복지사 등 아동권리와 복지 핵심 요약 정리 52장. 가정위탁보호 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 (2) | 2024.06.14 |